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리눅스 마스터 1급 요약6

리눅스 마스터 1급 동기식 vs 비동기식 이벤트 안녕하세요.오늘은 동기식 이벤트와 비동기식 이벤트에관해 알아보려합니다.바쁘신 분들을 위해 우선 요약본과 표를 먼저 보고 자세한 설명하겠습니다.   요약동기식 이벤트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으로, 순차적 처리와 작업 순서 보장이 특징입니다.비동기식 이벤트는 작업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작업을 즉시 수행하는 방식으로, 높은 동시성과 효율성을 제공합니다.동기식 이벤트의 예로는 동기식 파일 I/O와 전통적인 웹 서버(Apache Prefork 모드) 등이 있습니다.비동기식 이벤트의 예로는 비동기식 파일 I/O, Nginx 웹 서버, Node.js 등이 있습니다.리눅스 시스템에서 동기식 및 비동기식은 시스템 호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커널 I/O 처리 방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제 표를.. 2024. 9. 3.
리눅스 마스터 1급 Samba(삼바)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Samba에 대해 알아보겠읍니다.우선 표로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보겠읍니다.  삼바(Samba)의 주요 기능과 설정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표로 정리해보았읍니다. 5줄 요약삼바(Samba)는 리눅스에서 윈도우 네트워크와 파일, 프린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삼바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 도메인 컨트롤러 역할, 네트워크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합니다.주요 구성 요소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담당하는 smbd와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nmbd입니다.삼바 설정은 설치, 설정 파일 편집, 사용자 추가, 서비스 시작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삼바는 파일 서버, 프린터 서버, 백업 서버, 도메인 컨트롤러 등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삼바의 주요 기능- 기능설명파일 공유(File S.. 2024. 8. 29.
리눅스 마스터 1급 http 응답 코드 HTTP 상태 코드는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3자리 숫자로 구성된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성공했는지, 오류가 발생했는지, 추가적인 행동이 필요한지를 알려줍니다. 상태 코드는 5개의 클래스(범주)로 나뉩니다: 정보 응답(1xx), 성공(2xx), 리디렉션(3xx), 클라이언트 오류(4xx), 서버 오류(5xx)입니다.아래는 HTTP 상태 코드와 그 설명을 표로 정리한 것입니다.  -------------------------------------------------------------------------------------------리눅스 마스터 1급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HTTP 상태 코드리눅스 마스터 1급 시험에서는 네트워크와 웹 서버 관리와 관련.. 2024. 8. 28.
리눅스 마스터 1급 1과목 정리 및 요약 안녕하세요.오늘은 리눅스 마스터 1과목 정리 및 요약의 대해 말해볼까 합니다! 1과목: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와 관리1. 리눅스 시스템의 구조 및 이해커널 (Kernel):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 및 네트워크 장치와 같은 시스템 리소스를 관리하며, 시스템 호출(System Calls)을 통해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주요 기능: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디스크 및 파일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 드라이버 관리 등.시스템 콜 (System Calls):사용자 공간 프로그램이 커널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프로세스 생성, 파일 조작, 메모리 할당, 네트워.. 2024. 8. 27.
리눅스 마스터1급 요약 crontab 오늘은 리눅스 마스터 1급 내용 중 crontab에 대해 말씀드리겠읍니다.개념부터 설명 드리자면 1. cron과 crontab 기본 개념cron: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작업을 관리하는 데몬입니다. 주기적으로 실행될 작업들을 설정해 놓고, 지정된 시간에 그 작업들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crontab: cron 데몬의 설정 파일을 편집하거나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각 사용자마다 별도의 crontab 파일을 가질 수 있습니다.잠깐!이렁걸 왜 해야 할까요 ?저두몰라욤.. 2. crontab 파일 형식  --> 이부분을 잘 외워야 합니다.crontab 파일에는 각 작업(크론 잡)이 언제 실행될지를 설정하는 스케줄러와 실행할 명령어가 포함됩니다. crontab 파일의 기본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2024. 8. 21.
리눅스 마스터 1급 OSI 7계층 OSI 7 계층에 대해서 알아보겠읍니다. OSI가 뭐지? 7계층? 무엇일까요 ?  OSI 7계층 모델이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 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계층별로 나누어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제정한 것으로, 네트워크 통신의 복잡성을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각 계층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장비나 프로토콜 간의 호환성을 높이고, 문제 발생 시 특정 계층에서의 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OSI 7계층의 개요 OSI 모델은 총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정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2024.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