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1급 1과목 정리 및 요약

by CodeMuscle 2024. 8.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마스터 1과목 정리 및 요약의 대해 말해볼까 합니다! 

1과목: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와 관리

1. 리눅스 시스템의 구조 및 이해

  • 커널 (Kernel):
    • 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CPU, 메모리, 디스크 및 네트워크 장치와 같은 시스템 리소스를 관리하며, 시스템 호출(System Calls)을 통해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 주요 기능: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디스크 및 파일 시스템 관리, 네트워크 관리, 디바이스 드라이버 관리 등.
  • 시스템 콜 (System Calls):
    • 사용자 공간 프로그램이 커널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프로세스 생성, 파일 조작, 메모리 할당, 네트워크 통신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시스템 호출이 사용됩니다.
    • 예시: read(), write(), fork(), execve(), open() 등.
  • 디렉토리 구조 (Directory Structure):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계층적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루트(/) 디렉토리를 최상위로 하여 여러 하위 디렉토리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 주요 디렉토리:
      • /bin: 사용자 명령어 바이너리가 위치.
      • /boot: 부팅에 필요한 파일과 커널 이미지가 위치.
      • /etc: 시스템 설정 파일이 위치.
      • /home: 사용자 홈 디렉토리.
      • /var: 로그 파일과 같은 가변 데이터를 저장.
      • /usr: 사용자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 부팅 과정 (Boot Process):
    •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BIOS/UEFI 초기화: 시스템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부트 로더를 로드할 준비를 합니다.
      2. Boot Loader (예: GRUB) 실행: 커널을 메모리로 로드하고 제어를 커널에 넘깁니다.
      3. 커널 로딩: 커널이 메모리에 로드되며, 하드웨어 장치를 초기화하고, init 프로세스 또는 systemd를 시작합니다.
      4. Init/Systemd 실행: 시스템 초기화 및 서비스 시작을 담당하며,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고 로그인 프롬프트를 제공합니다.

2. 시스템 부팅과 관련한 설정 및 관리

  • GRUB (Grand Unified Bootloader):
    • 다양한 운영 체제를 부팅할 수 있는 부트 로더입니다. 시스템 시작 시 커널을 로드하고 부팅 메뉴를 제공합니다.
    • 설정 파일: /boot/grub/grub.cfg 또는 /etc/default/grub에서 부팅 메뉴와 커널 옵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명령어: grub-install, update-grub.
  • 부팅 단계:
    • 부팅 과정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집니다:
      1. BIOS/UEFI 초기화: 기본 하드웨어 체크 및 초기화.
      2. MBR/GPT에서 부트 로더 로딩: 부트 로더는 운영 체제를 부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3. 커널 로딩: 부트 로더가 커널을 메모리에 로드하고, 하드웨어를 초기화한 후, init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4. Init 프로세스 시작: 시스템 초기화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런레벨이나 시스템 타겟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 부트 로더 설정 파일:
    • /boot/grub/grub.cfg: 부팅 메뉴 항목과 커널 매개변수를 설정하는 파일로, 부팅 시 자동으로 읽혀집니다.
    • 예시: grub.cfg 파일의 항목을 수정하여 특정 커널 옵션이나 부팅 메뉴의 기본 항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런레벨 및 시스템 타겟:
    • SysVinit의 런레벨: 시스템의 운영 상태를 정의하며, 각각의 런레벨은 시스템이 부팅 후 어떤 서비스를 시작할지 결정합니다. (예: 0 - 시스템 종료, 1 - 단일 사용자 모드, 3 - 멀티유저 모드, 5 - 멀티유저 + GUI, 6 - 재부팅)
    • systemd의 타겟: SysVinit의 런레벨과 유사하게, 시스템 상태를 정의하며, graphical.target, multi-user.target 등으로 정의됩니다.
    • 명령어: systemctl get-default, systemctl set-default, systemctl isolate.

3. 프로세스와 작업 관리

  • 프로세스 상태:
    • 상태 종류:
      • R (Running): 실행 중이거나 실행 대기 중인 상태.
      • S (Sleeping): 대기 중인 상태(인터럽트 가능).
      • D (Uninterruptible Sleep): 대기 중인 상태(인터럽트 불가능).
      • Z (Zombie): 종료된 프로세스가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수거되지 않은 상태.
      • T (Stopped): 일시 중지된 상태.
  •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출력합니다. ps aux 명령을 사용하여 모든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top: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며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top: top의 향상된 버전으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종료할 수 있습니다.
    • kill: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로, PID(Process ID)를 지정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 **nice**와 renice: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명령어로, 프로세스의 CPU 사용 우선순위를 조절합니다.
    • jobs, bg, fg: 현재 셸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작업의 상태를 확인하고 백그라운드 또는 포그라운드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프로세스 우선순위 설정:
    • nice: 새로운 프로세스를 특정 우선순위로 시작할 때 사용합니다. 예: nice -n 10 ./myprogram
    • renice: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합니다. 예: renice +5 1234 (PID 1234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5로 설정)
  • 프로세스 통신 기법 (IPC):
    • 파이프 (Pipes): 두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위한 간단한 메커니즘으로, 한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사용합니다.
    • 메시지 큐 (Message Queues): 커널이 제공하는 통신 방식으로, 프로세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지원합니다.
    • 공유 메모리 (Shared Memory): 두 프로세스가 동일한 메모리 공간을 공유하여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세마포어 (Semaphores): 공유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기화 메커니즘입니다.

4. 메모리 관리 및 성능 최적화

  • 메모리 관리 개념:
    • 물리 메모리 (Physical Memory): 실제 하드웨어 메모리(RAM)로, 시스템의 기본 메모리 자원입니다.
    • 가상 메모리 (Virtual Memory): 물리 메모리와 스왑 공간을 결합하여 제공되는 메모리로,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주소 공간을 제공합니다.
    • 스왑 공간 (Swap Space): 물리 메모리가 부족할 때 디스크 공간을 활용하여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공간으로, 시스템의 메모리 관리 효율성을 높입니다.
  • 메모리 관리 명령어:
    • free: 시스템의 물리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예: free -h (인간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
    • vmstat: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 CPU, 디스크 IO, 시스템 호출, 페이징 등의 통계를 제공하여 성능을 모니터링합니다.
    • tophtop: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메모리 사용량에 따른 프로세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s: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캐시와 버퍼의 역할:
    • 캐시(Cache):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CPU의 접근 시간을 줄입니다.
    • 버퍼(Buffer): 입출력(I/O)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합니다.
  • 스왑 관리:
    • 스왑 공간의 필요성과 설정 방법을 이해하고, 스왑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명령어: swapon, swapoff, mkswap.

5. 파일 시스템과 스토리지 관리

  • 파일 시스템 종류:
    •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파일 시스템 유형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ext3, ext4: 널리 사용되는 파일 시스템으로, 저널링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 XFS: 대용량 파일 시스템으로, 고성능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 Btrfs: 최신 파일 시스템으로, 스냅샷, 압축, 데이터 무결성 검사 기능을 제공합니다.
  • 디스크 관리 명령어:
    • fdisk: MBR 파티션 테이블을 사용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합니다.
    • parted: GPT 파티션 테이블을 포함한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삭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mkfs: 특정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예: mkfs.ext4 /dev/sda1
    • mount, umount: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거나 언마운트하여 사용자가 디렉토리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df: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예: df -h
    • du: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로, 디스크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 LVM (Logical Volume Manager):
    • 물리적 디스크를 논리적 볼륨으로 관리하여 디스크 공간의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기능: 디스크 공간을 동적으로 할당, 확장, 축소할 수 있습니다.
    • 명령어: pvcreate, vgcreate, lvcreate, lvextend, lvreduce.
  • 파일 시스템 점검 및 복구:
    • fsck: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오류를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주로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며, 파일 시스템 손상을 방지합니다.
    • e2fsck: ext2/ext3/ext4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도구입니다.

6. 사용자 및 그룹 관리

  • 사용자 계정 관리:
    • useradd: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예: useradd johndoe
    • usermod: 기존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수정합니다. 예: usermod -d /newhome johndoe (홈 디렉토리 변경)
    • userdel: 사용자 계정을 삭제합니다. 예: userdel -r johndoe (홈 디렉토리와 함께 삭제)
  • 그룹 관리:
    • 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생성합니다. 예: groupadd devteam
    • groupmod: 기존 그룹의 속성을 수정합니다. 예: groupmod -n newgroup devteam (그룹 이름 변경)
    • groupdel: 그룹을 삭제합니다. 예: groupdel devteam
  • 권한 관리:
    • chmod: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합니다. 예: chmod 755 script.sh
    • chown: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합니다. 예: chown user:group file.txt
    • chgrp: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을 변경합니다. 예: chgrp groupname file.txt
  • SUID, SGID, 스티키 비트:
    • SUID (Set User ID): 실행 파일이 실행될 때 해당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합니다.
    • SGID (Set Group ID): 실행 파일이 실행될 때 해당 파일의 그룹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거나, 디렉토리의 파일이 생성될 때 상위 디렉토리의 그룹 권한을 상속하도록 설정합니다.
    • 스티키 비트 (Sticky Bit): 디렉토리의 파일 삭제 권한을 소유자와 루트 사용자에게만 부여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7. 네트워크 구성과 관리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설정과 상태를 확인합니다. (현재는 ip 명령어로 대체)
    •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IP 주소 설정, 링크 상태 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 nmcli, nmtui: 네트워크 매니저를 CLI 또는 텍스트 기반 UI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도구로, 네트워크 연결 및 상태 확인을 지원합니다.
  •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 SSH, FTP, HTTP, DNS: 리눅스 서버에서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SSH), /etc/httpd/httpd.conf (HTTP), /etc/named.conf (DNS)
  • 네트워크 진단 도구:
    • ping: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 호스트에 패킷을 전송하고 응답을 확인합니다. 예: ping google.com
    • traceroute: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여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보여줍니다.
    • netstatss: 네트워크 연결 상태, 포트 사용 현황,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tcpdump: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처하고 분석하는 도구로, 네트워크 문제를 상세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 방화벽 설정:
    • iptables: 방화벽 규칙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예: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22 -j ACCEPT (SSH 포트 허용)
    • firewalld: 동적 방화벽 관리 도구로, 쉽고 유연하게 방화벽을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8. 시스템 보안 설정

  • 파일 및 디렉토리 접근 제어:
    • 파일 권한(chmod)과 소유권(chown, chgrp) 설정을 통해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 SELinux 및 AppArmor:
    • SELinux (Security-Enhanced Linux): 리눅스 커널에서 제공하는 MAC(강제 접근 제어) 보안 모듈로, 시스템의 전체적인 보안을 강화합니다.
    • AppArmor: 응용 프로그램별로 권한을 설정하여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리눅스 커널 보안 모듈입니다.
    • 명령어: getenforce, setenforce, aa-status, aa-enforce.
  • 암호화 및 인증 설정:
    • 데이터 보호를 위해 암호화 기술과 사용자 인증 설정 방법을 다룹니다.
    • 명령어: openssl (암호화 및 인증서 관리), gpg (파일 암호화 및 서명)
  • 로그 관리 및 감사:
    • rsyslog: 시스템 로그를 수집하고 관리합니다. /etc/rsyslog.conf 파일에서 로그의 저장 위치와 포맷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journalctl: systemd 로그를 관리하는 도구로, 부팅 로그, 서비스 로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 시스템 백업 및 복구

  • 백업 도구와 전략:
    • tar: 파일과 디렉토리를 아카이브하여 백업합니다. 예: tar -czvf backup.tar.gz /home/user
    • rsync: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여 효율적인 백업을 수행합니다. 예: rsync -av /source /destination
    • dd: 디스크나 파티션의 복사본을 만듭니다. 예: dd if=/dev/sda of=/backup/sda.img
    • dumprestore: 파일 시스템 레벨에서 백업 및 복구를 수행합니다.
  • 스냅샷:
    • LVM 스냅샷: 논리 볼륨의 특정 시점에 대한 상태를 백업합니다.
    • Btrfs 스냅샷: Btrfs 파일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스냅샷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특정 시점을 빠르게 백업하고 복원할 수 있습니다.
  • 재해 복구 계획: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데이터 복구와 시스템 복원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포함합니다. 백업 주기 설정, 복구 절차 테스트 등을 포함합니다.
  • RAID 구성:
    • RAID 레벨의 선택과 설정을 통해 데이터 복구 가능성을 높이는 방법을 다룹니다. RAID 0, 1, 5, 6, 10 등을 설정하여 성능과 데이터 보호 요구사항을 충족시킵니다.

이 설명은 리눅스 시스템의 심화된 이해와 관리를 위한 다양한 영역을 포괄합니다. 각 항목은 실질적인 리눅스 시스템 관리 기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요소들을 다룹니다.

 

표로 정리된 리눅스 관리 명령어

1. 프로세스 관리

명령어설명예시

ps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과 상태를 출력합니다. 다양한 옵션을 통해 특정 사용자나 특정 조건의 프로세스를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ps aux : 모든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를 상세하게 표시합니다.
top 시스템의 실시간 프로세스 정보를 제공하며,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을 포함합니다. 주로 서버의 성능 모니터링에 사용됩니다. top : 실시간으로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와 리소스 사용을 표시합니다.
htop top의 향상된 버전으로, 색상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op : 향상된 인터페이스로 실시간 프로세스를 모니터링합니다.
kill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로, 특정 PID(Process ID)를 지정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kill 1234 : PID가 1234인 프로세스를 종료합니다.
nice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CPU 사용량을 조절합니다. 우선순위는 -20(가장 높은 우선순위)부터 19(가장 낮은 우선순위)까지입니다. nice -n 10 myprogram : 우선순위 10으로 myprogram 실행.
renice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합니다. 주로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낮출 때 사용합니다. renice +5 1234 : PID가 1234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5만큼 낮춥니다.
jobs 현재 세션에서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 목록을 표시합니다. 작업의 상태와 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jobs : 현재 쉘 세션의 백그라운드 작업 목록을 표시합니다.
bg 일시 중지된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하도록 합니다. jobs 명령으로 확인한 작업 ID를 사용합니다. bg %1 : 작업 ID 1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합니다.
fg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가져와서 실행합니다. jobs 명령으로 확인한 작업 ID를 사용합니다. fg %1 : 작업 ID 1을 포그라운드로 가져옵니다.

2. 메모리 관리

명령어설명예시

free 시스템의 물리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 사용량을 요약하여 보여줍니다. 메모리의 전체 용량, 사용 중인 용량, 사용 가능한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ree -h : 인간이 읽기 쉬운 형태로 메모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vmstat 가상 메모리, 프로세스, CPU, 디스크 IO, 시스템 호출, 페이징 등의 시스템 통계를 제공하여 성능을 모니터링합니다. vmstat 2 : 2초 간격으로 시스템 성능 통계를 출력합니다.
top 시스템의 실시간 메모리 사용량을 포함한 프로세스 정보를 제공합니다. CPU와 메모리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확인할 때 유용합니다. top : 실시간 메모리 사용량과 프로세스 정보를 표시합니다.
htop top과 유사하게 실시간 메모리 사용량을 보여주며, 인터페이스가 향상되어 좀 더 직관적으로 메모리와 프로세스 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htop : 향상된 인터페이스로 메모리 사용량을 모니터링합니다.
ps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옵션을 사용하여 메모리 사용량 기준으로 정렬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ps aux --sort=-%mem :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프로세스를 정렬하여 표시합니다.

3. 디스크 및 파일 시스템 관리

명령어설명예시

fdisk 디스크 파티션을 나누거나 수정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MBR 파티션 테이블을 지원합니다. fdisk /dev/sda : /dev/sda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수정합니다.
parted GPT 파티션 테이블을 포함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삭제,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더 큰 디스크와 복잡한 파티션 레이아웃을 지원합니다. parted /dev/sda : /dev/sda 디스크의 파티션을 설정합니다.
mk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특정 디스크 파티션에 ext4, xfs 등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mkfs.ext4 /dev/sda1 : /dev/sda1에 ext4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mount 파일 시스템을 특정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여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주로 외부 저장 장치나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때 사용합니다. mount /dev/sda1 /mnt : /dev/sda1을 /mnt에 마운트합니다.
umount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안전하게 제거합니다. 장치 또는 마운트 지점을 지정하여 실행합니다. umount /mnt : /mnt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합니다.
df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현재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용량과 사용 중인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f -h : 모든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인간이 읽기 쉬운 형태로 표시합니다.
du 디렉토리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특정 디렉토리나 파일의 크기를 표시하여 디스크 용량 관리에 유용합니다. du -sh /home : /home 디렉토리의 전체 크기를 요약하여 표시합니다.
fsck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오류를 복구합니다. 주로 시스템 재부팅 시 파일 시스템 오류를 복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fsck /dev/sda1 : /dev/sda1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e2fsck ext2/ext3/ext4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도구입니다. fsck의 특정 파일 시스템 버전으로,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고 복구합니다. e2fsck /dev/sda1 : /dev/sda1에 대한 ext4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합니다.

4.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명령어설명예시

useradd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합니다.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와 초기 설정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useradd johndoe : johndoe라는 새 사용자 계정을 만듭니다.
usermod 기존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수정합니다. 사용자 이름, 홈 디렉토리, 로그인 쉘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usermod -d /home/newhome johndoe : johndoe의 홈 디렉토리를 /home/newhome으로 변경합니다.
userdel 사용자 계정을 삭제합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와 메일 스풀을 함께 삭제할 수 있습니다. userdel -r johndoe : johndoe 사용자와 그 홈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groupadd 새로운 그룹을 생성합니다. 주로 특정 작업이나 권한을 사용자 그룹으로 관리할 때 사용합니다. groupadd devteam : devteam이라는 새 그룹을 만듭니다.
groupmod 기존 그룹의 속성을 수정합니다. 그룹 이름 변경이나 그룹 ID 변경 등에 사용됩니다. groupmod -n newgroup devteam : 그룹 devteam의 이름을 newgroup으로 변경합니다.
groupdel 그룹을 삭제합니다. 그룹을 삭제하기 전에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groupdel devteam : devteam 그룹을 삭제합니다.
chmod 파일 및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설정합니다.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사용자, 그룹, 기타 사용자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습니다. chmod 755 script.sh : script.sh 파일의 권한을 소유자는 읽기/쓰기/실행,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실행으로 설정합니다.
chown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변경합니다. 주로 소유자나 소유 그룹이 바뀔 때 사용됩니다. chown johndoe:devteam script.sh : script.sh 파일의 소유자를 johndoe, 그룹을 devteam으로 변경합니다.

5.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설명예시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관리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등을 설정하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ip 명령으로 대체) ifconfig eth0 192.168.1.10 netmask 255.255.255.0 : eth0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라우팅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ifconfig와 route를 대체합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모든 설정을 다룰 수 있습니다. ip addr show :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를 표시합니다.
nmcli 네트워크 매니저를 CLI 환경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연결, 비활성화, 상태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nmcli con up "My Wi-Fi" : "My Wi-Fi" 네트워크 연결을 활성화합니다.
nmtui 텍스트 기반 UI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매니저를 관리합니다. GUI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nmtui : 텍스트 기반의 네트워크 설정 인터페이스를 엽니다.
ping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대상 호스트에 패킷을 전송하고 응답을 받는지 확인합니다.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ping google.com : google.com 서버와의 연결을 테스트합니다.
traceroute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여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보여줍니다. 네트워크 지연과 경로 문제를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traceroute google.com : google.com까지의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합니다.
netstat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시스템의 네트워크 상태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netstat -tuln : 모든 활성화된 네트워크 포트와 연결을 나열합니다.
ss netstat의 대체 명령어로, 네트워크 소켓 정보를 더욱 빠르고 상세하게 제공합니다. 열린 소켓의 상태와 통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 -tuln : 활성화된 네트워크 포트와 연결을 나열합니다.
tcpdump 네트워크 패킷 캡처 및 분석 도구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상세히 분석하여 네트워크 문제를 진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tcpdump -i eth0 port 80 : eth0 인터페이스의 포트 80 트래픽을 캡처합니다.

6. 보안 및 접근 제어

명령어설명예시

chmod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설정하거나 변경합니다. 사용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설정합니다. chmod 644 file.txt : file.txt의 권한을 소유자 읽기/쓰기, 그룹 및 기타 사용자 읽기 권한으로 설정합니다.
chown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 그룹을 변경합니다. chown root:admin file.txt : file.txt의 소유자를 root, 소유 그룹을 admin으로 변경합니다.
chgrp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을 변경합니다. chgrp admin file.txt : file.txt의 소유 그룹을 admin으로 변경합니다.
iptables 방화벽 규칙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합니다.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22 -j ACCEPT : SSH 포트(22번)를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합니다.
firewalld 동적 방화벽 관리 도구로, 방화벽 규칙을 쉽게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 HTTP 포트(80번)를 영구적으로 허용합니다.
rsyslog 시스템 로그를 수집하고 관리합니다. 다양한 로그 포맷과 출력 대상에 따라 설정할 수 있습니다. rsyslogd : rsyslog 데몬을 시작하여 로그를 수집합니다.
journalctl systemd 로그를 조회하고 관리합니다. 시스템 부팅 로그, 서비스 로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journalctl -xe : 최근의 에러 메시지를 포함한 시스템 로그를 출력합니다.

7. 백업 및 복구

명령어설명예시

tar 파일과 디렉토리를 묶어서 아카이브로 만들거나 압축된 형태로 백업합니다. tar -czvf backup.tar.gz /home/user : /home/user 디렉토리를 backup.tar.gz 파일로 압축하여 백업합니다.
rsync 파일과 디렉토리를 동기화하며, 효율적인 백업을 위해 변경된 파일만 전송합니다. rsync -av /source /destination : /source에서 /destination으로 파일을 동기화합니다.
dd 디스크나 파티션의 정확한 복사본을 만들 때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dd if=/dev/sda of=/backup/sda.img : /dev/sda 디스크를 이미지 파일로 백업합니다.
dump 파일 시스템을 백업하기 위한 유틸리티로, ext2/3/4 파일 시스템을 지원합니다. dump -0u -f /backup/root.dump /dev/sda1 : /dev/sda1 파일 시스템을 백업합니다.
restore dump 명령으로 생성된 백업 파일을 복원하는 데 사용됩니다. restore -rf /backup/root.dump : root.dump 파일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복원합니다.

요약

리눅스 마스터 1급의 1과목인 "리눅스 시스템의 이해와 관리"는 리눅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와 운영을 이해하고, 시스템 설정, 프로세스와 메모리 관리, 파일 시스템과 사용자 관리, 네트워크 설정, 보안 관리, 백업 및 복구 등 다양한 관리 작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이 과목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의 심층적인 지식과 실습을 통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다룹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