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리눅스마스터 1급
리눅스 마스터 1급 RAID 레벨별 사용 가능한 용량 계산(수정)
CodeMuscle
2024. 8. 26. 10:40
반응형
안녕하세요.
CodeMuscle 입니다.
RAID 레벨별 사용 가능한 용량 계산 방법
바쁘신분들을 위해 먼저 요약보고 자세히 넘어가겠습니다.
요약
- RAID 0: 총 디스크 용량 모두 사용
- RAID 1: 총 디스크 용량의 절반 사용
- RAID 2: 사용 가능한 용량은 데이터 디스크 수에 따라 달라짐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 RAID 3: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4: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5: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6: (총 디스크 수 - 2)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10: 총 디스크 용량의 절반 사용
이제 하나하나 자세히 보겠습니다.
1. RAID 0 (스트라이핑)
- 설명: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걸쳐서 스트라이핑(나누어 저장)합니다. 데이터 복구 기능이 없으므로 모든 디스크의 용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단일 디스크 용량\text{총 디스크 개수}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4×10GB=40GB4 \times 10\text{GB} = 40\text{GB}
2. RAID 1 (미러링)
- 설명: 데이터를 두 개의 디스크에 동일하게 저장하여 데이터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 가능한 용량은 전체 디스크 용량의 절반입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2×단일 디스크 용량\frac{\text{총 디스크 개수}}{2}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2개의 10GB 디스크 → 1×10GB=10GB1 \times 10\text{GB} = 10\text{GB}
3. RAID 2 (비트 레벨 스트라이핑과 해밍 코드)
- 설명: RAID 2는 데이터와 오류 검출 및 수정 정보를 비트 수준에서 스트라이핑하고, 해밍 코드를 사용하여 오류를 수정합니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사용 가능한 용량은 데이터 디스크 수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총 디스크 수에서 오류 수정 디스크 수를 뺀 값입니다.
4. RAID 3 (바이트 레벨 스트라이핑과 전용 패리티)
- 설명: 데이터를 바이트 수준에서 스트라이핑하고,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에 오류 복구 정보를 저장합니다. 주로 연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됩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1×단일 디스크 용량\text{총 디스크 개수} - 1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4−1)×10GB=30GB(4 - 1) \times 10\text{GB} = 30\text{GB}
5. RAID 4 (블록 레벨 스트라이핑과 전용 패리티)
- 설명: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스트라이핑하고, 별도의 패리티 디스크에 오류 복구 정보를 저장합니다. 주로 읽기 성능이 중요할 때 사용됩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1×단일 디스크 용량\text{총 디스크 개수} - 1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4−1)×10GB=30GB(4 - 1) \times 10\text{GB} = 30\text{GB}
6. RAID 5 (패리티 분산)
- 설명: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패리티(오류 검출 및 복구 정보)를 각 디스크에 분산하여 저장합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1×단일 디스크 용량\text{총 디스크 개수} - 1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4−1)×10GB=30GB(4 - 1) \times 10\text{GB} = 30\text{GB}
7. RAID 6 (이중 패리티)
- 설명: RAID 5와 비슷하지만, 두 개의 패리티를 사용하여 두 개의 디스크 고장까지 복구할 수 있습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2×단일 디스크 용량\text{총 디스크 개수} - 2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4−2)×10GB=20GB(4 - 2) \times 10\text{GB} = 20\text{GB}
8. RAID 10 (RAID 1+0)
- 설명: RAID 1과 RAID 0의 결합으로, 미러링과 스트라이핑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사용 가능한 용량은 RAID 1과 비슷하게 총 디스크 수의 절반입니다.
- 사용 가능한 용량:
총 디스크 개수2×단일 디스크 용량\frac{\text{총 디스크 개수}}{2} \times \text{단일 디스크 용량} - 예:
4개의 10GB 디스크 → 2×10GB=20GB2 \times 10\text{GB} = 20\text{GB}
요약
- RAID 0: 총 디스크 용량 모두 사용
- RAID 1: 총 디스크 용량의 절반 사용
- RAID 2: 사용 가능한 용량은 데이터 디스크 수에 따라 달라짐 (현재 거의 사용되지 않음)
- RAID 3: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4: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5: (총 디스크 수 - 1)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6: (총 디스크 수 - 2)개의 디스크 용량 사용
- RAID 10: 총 디스크 용량의 절반 사용
반응형